드보르작 신세계에서 교향곡9번4악장 2악장꿈속의고향(시도의감자꽃)

드보르작 신세계에서 교향곡9번4악장 2악장꿈속의고향(시도의감자꽃)

기차를 사랑한 작곡가 – 드보르작 교향곡 9번 ”신세계로부터”, 유모레스크 7번 Dvorak : Symphony No.9 ”From New World”, Humoresque No.7, Op. 101 여러분은 무엇인가에 미쳐본 적이 있나요? 여기 기차에 미친 기차 덕후, 기차광이 있습니다. 당일 소개해드릴 작곡가, 안토닌 드보르작 Antonin Dvorak 입니다. 드보르작은 오스트리아 제국 프라하(현 체코)의 작곡가입니다. 스메타나와 함께 체코 국민악파를 대표하지요. 1850년, 여덟 살의 드보르작은 난생첫째 증기 기관차를 보게 됩니다.

그가 살던 마을에 철도가 놓인 것입니다. 그때부터 드보르작은 굉음을 내며 힘차게 달려가는 기차의 모습을 보기 위해 기차가 도착하기 한참 전부터 철도 옆에서 기다리곤 했습니다.


***안토닌 드보르작***
***안토닌 드보르작***


***안토닌 드보르작***

지금의 체코에서 태어난 드보르작은 어린 시절 집안의 경제적 상황이 넉넉하지 못했습니다.

그래서 친척의 도움으로 프라하의 오르간 교육을 받으면서 곡 공부를 시작했고 졸업 후에는 한동안 직업을 구하지 못해 어려운 생활을 그렇지만 꾸준하게 작곡 공부에 전염했다고 합니다. 그가 31세에 작곡한 혼성 합창과 관현악을 위한 ”찬가”가 큰 성공을 하면서 드디어 인정받는 작곡가의 대열에 우뚝 서게 됩니다. 그리고 이 성공을 기회로 알토 가수인 안나 체르마코바와의 결혼으로 이어졌습니다.

드보르작은 브람스와 친분이 돈독했는데요, 브람스는 그의 독자적인 슬라브 양식의 음악을 높이 평가했다고 합니다. 교향곡 제9번 ”신세계로부터”를 비롯해 ”유모레스크”, ”슬라브 랩소디 A플랫 장조”, ”슬라브 무곡”, ”오페라 루살카” 등이 있습니다.

한국어로는 교향곡(交響曲)
한국어로는 교향곡(交響曲)

한국어로는 교향곡(交響曲)

영어로는 심포니(symphony)라는 것이 한국어로는 왜 교향곡(交響曲)으로 쓰이고 있는지 이해가 잘되지 않는 분들이 많습니다. 우리가 평소에 교향이라는 단어를 매번 접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사실, 교향(交響)은 일본식 한자 표현이라 우리에게 잘 와닿지 않는 것입니다. 표준대국어사전에는 섞이다, 교차합니다. 뜻의 交(교)와 울리다. 뜻의 響(향)이라는 뜻으로 ”서로 어우러져서 울림”이라고 되어 있습니다.

사실, 교향이라는 단어는 일본어 こうきょう(交響)를 한자로 쓴 것입니다. 일본어 こうきょう는 ”서로 울림”이라는 뜻입니다. 이러한 일본식 표현과 관련하여 2005년 새국어소식(발행 국립국어원)에 실린 칼럼이 있습니다. 별도의 전문 분야와 마찬가지로 전통적 분야의 전문 지식도일제 강점기를 전후하여 일본을 통하여간접적으로 우리나라에 받아들여졌다. 그러다.

든든하기가 실적 같았던 재물도 우리와 함께 가지 못합니다.

셋째 아내는 일가 친척, 친구들입니다. 마음이 맞아 늘 같이 어울려 다니던 이들도 문 밖까지는 따라와 주지만 끝까지 함께 가 줄 수는 없습니다. 그리고 시간이 지나면 조금씩 나를 잊어버릴 것이니까요.넷째 아내는 바로 마음입니다. 살아있는 동안은 별 관심도 보여주지 않고 궂은 일만 도맡아 하게 했지만 죽을 때 어디든 따라가겠다고 나서는 것은 마음뿐입니다. 어둡다는 땅속 밑이든 서방정토든 지옥의 끓는 불 속이던 마음이 앞장서서 나를 데리고 갈 것입니다.

살아 생전에 마음이 매번 다니던 길이 음습하고 추잡한 악행의 자갈길이었으면 늘 다니던 그 자갈길로 나를 데리고 갈 것이고, 선과 덕을 쌓으며 걸어 다니던 밝고 환한 길이면 늘 다니던 그 환한 길로 나를 데리고 갈 것입니다. 그래서 살아 있는 동안 어떤 마음으로 어떤 업을 짓느냐가 죽고 난 뒤보다.

드보르자크의 대표작 교향곡 소개

드보르자크가 1892년과 그 이듬해에 걸쳐 뉴욕에 머물던 시절, 미국에서 들은 흑인 음악이나 아메리칸 인디언의 민요에서 영감을 받아 이 곡의 멜로디를 쓰기 시작했다. 느린 악장에는 이라고 표제 되어 있습니다. 음악원의 여름휴가를 틈타 아이오와의 스필빌에 피서하면서 관현악 편성의 대부분을 썼다고 합니다. 제 1악장은 신대륙의 새벽을 연상케 하는 마디가 길고 민첩한 소나타 형식으로 연주됩니다. 소박하고 힘찬 제1주제가 전개된 뒤, 플루트와 오보에로 나타나는 제2 주제에서는 미국인 사이에서 애창되는 흑인 영가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제 2악장은 전 악장 가운데 가장 유력한 부분인데, 잉글리시 호른이 연주하는 핵심 주제는 신대륙 전원시의 한 토막입니다. 애수가 돋보이것은 선율로 노래하는데, 조국을 멀리 떠난 이들의 애끓는 향수 같은 것으로 드보르자크의 고향을 생각하는 마음이 잘 표현되어 있습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