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준 차례상 (성균관 새 표준안 발표)
오는 1월 22일일은 음력 정월 초하룻날로 우리나라 고유의 명절 설날입니다. 기록에 의하면 신라 때 이미 설이라는 말이 널리 쓰이고, 고려시대에는 9대 명절로 하나로, 조선시대에는 4대 명절의 하나로 지금까지 전해내려 옵니다. 설날의 세시풍속으로는 차례, 세배, 설빔, 덕담, 문안비, 설 그림, 복요리 걸기, 야광 귀 쫓기, 청 참, 윷놀이, 널뛰기, 머리카락 태우기 등이 있습니다. 설이라는 말의 유래는 여러 의견이 있습니다. 삼간다는 뜻으로서, 새 해의 첫날에 일 년 동안 아무 탈 없이 지내게 해 달라는 바람에서 연유했다는 견해가 있습니다.
섦다의 뜻에서 유래된 뜻으로, 해가 지남에 따라 점차 늙어 가는 처지를 서글퍼 하는 뜻에서 생겼을 것이라는 견해가 있습니다. 설다, 낯설다의 취지로 새로운 시간주기에 익숙하지 않다는, 그리하여 완전하지 않다는 의미에서 생겼다는 견해도 있습니다.
추석 명절 차례상 유래, 음식 종류
추석에는 여러 방식으로 조상들에게 성묘를 지낸다. 시대가 바뀌면서 예전과 같이 명절에 친척들이 한데 모여 함께 차례상을 차리고 제사를 지내는 경우는 많이 사라지고 소규모 가족 단위로 치르거나 하는 경우도 적지 않지만 그래도 기본적으로 차례상의 유래와 차리는 법은 알아 두는 것이 좋겠습니다.
차례는 차를 올리는 예라는 뜻으로 명절을 맞아 조상들에게 음식을 준비하여 상을 차리고 함께 절을 하며 조상을 기리는 것으로 기제사 등 제례와 의미는 같다.
다만 명절을 맞아 치르는 의식이므로 약간의 차이가 있었는데 추석의 경우는 송편, 설에는 떡국이 상승하는 것이 대표적입니다. 일반적인 기제사에는 밥이 상승하는 것과 차이가 있습니다.
차례상 차리는 방법
차례상 차리는 방법에는 많은 규칙들이 존재합니다. 차례상은 5열로 구성이 되며 저희가 많이 이해하는 홍동백서는 5열에 놓이는 음식입니다. 1. 1열 밥과, 국추석에는 송편, 설날에는 떡국을 올립니다. 추석에는 밥 대신 송편을 올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송편은 추석의 둥근달을 상징하기 때문입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반서갱동이라 하여 밥과 술잔은 왼쪽 국과 송편은 오른쪽에 놓는 경우도 있습니다. 산 자와 죽은 자의 공간을 분리한다는 의미가 있습니다.
2. 2열 육전, 육적, 두부, 어적, 어전 어동육서 어류는 동쪽, 육류는 서쪽에 두며, 하늘이 주신 음식이라는 뜻으로 적과 전을 합해 홀수로 놓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지방 쓰는 법아버지
현고학생부군신위 현고 제사 주체와의 관계를 나타내며 나타날현, 돌아볼 고 한자를 씁니다. 이 중 돌아볼 고는 살아가면서 아버지의 행동거지나 가르침을 문득문득 돌아본다는 뜻이고, 현고는 아버지, 우리앞에 나타나주세요. 라고 합니다. 학생은 고인의 직위를 작성하는 곳인데 관직이 없는 경우 학생이라고 씁니다. 관직이 있으면 국회의원, 대법관 등을 학생대신 기재할 수 있지만 아마도 학생이라고 씁니다.
부군 남성나보다. 윗사람일때), 나보다. 아랫사람일때는 이 과정에서 이름을 써줍니다.
제사 지내는 시간
기제사는 전통적으로는 조상이 목숨을 잃은 날의 첫 새벽새벽 0시 직후에 지냈습니다. 저의 기억도 친가쪽 제사는 늘 12시에 지냈던 기억이 있습니다. 그러나 오늘날은 이렇게 되면 가족들의 참석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어, 아마도 기일의 저녁 시간에 지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차례의 경우 명절의 오전 시간에 지내는 것이 보통입니다.
자주 묻는 질문
추석 명절 차례상 유래, 음식
추석에는 여러 방식으로 조상들에게 성묘를 지낸다. 좀 더 구체적인 사항은 본문을 참고해 주세요.
차례상 차리는 방법
차례상 차리는 방법에는 많은 규칙들이 존재합니다. 궁금한 내용은 본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지방 쓰는 법아버지
현고학생부군신위 현고 제사 주체와의 관계를 나타내며 나타날현, 돌아볼 고 한자를 씁니다. 좀 더 구체적인 사항은 본문을 참고해 주세요.